18
CASE REPORT 402 a 교수, 가천의과학대학교 길치과병원 교정과. b 공중보건의. c 개인치과의원. d 조교수,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교신저자: 문철현.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1204, 가천의과학대학교 길치과병원 교정과. 032-460-3881; e-mail, [email protected]. 원고접수일: 2008년 12월 1일 / 원고최종수정일: 2009년 9월 14일 / 원고채택일: 2009년 9월 16일. DOI:10.4041/kjod.2009.39.6.402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문철현 a 이주신 b 이현선 c 최진휴 d 성장이 종료된 치성 또는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전치부 개방교합 환자는 증 가된 전안면고경, 상악 구치부의 과도한 수직성장, 큰 하악각 등의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증례에서 구치의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해소는 좋은 치료전략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개방교합을 치료하고 성공 적인 유지를 얻은 두 명의 환자에 대한 보고이다. 적절한 진단이 시행되고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등의 장치를 이용한 치료기법을 적용하면 수술치료 없이 교정치료만으로 개방교합의 치료가 가능하며,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 을 추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및 SFR이 개교환자를 위한 유지장치 또는 보조유지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대치교정지 2009;39(6):402-419) 주요 단어: 개방교합, 교정용 미니임플란트, 구치부 바이트 블럭, 골 고정성 유지장치 서론 성인 개방교합 환자의 치료는 교정의사에게 종종 어려운 도전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에서 개 방 교합의 정도가 심한 경우 비수술적 방법만으로 성공적인 치료를 달성하기에 한계가 있는 경우도 많다. 1,2 개방교합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구치부의 정 출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증례 에서는 치료 방향 또한 후방 치아치조의 수직적 조 절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3-7 교정용 미니임플란트(Orthodontic Mini-Implant, OMI) 는 식립과 제거가 쉬우면서도 치조골의 협측, 8 구개 , 9-11 하악 구후 융기, 12 무치악 부위나 치근 사이의 부착 치은 부위 등 다양한 부위에 식립이 가능하여 최근 임상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OMI는 또 한 수직적인 문제를 가진 개방교합 환자에서 주위 치아나 반대 악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치아의 압 하를 쉽게 도모할 수 있는 충분한 고정원을 제공하 는 장점이 있다. 13 그러나 OMI를 고정원으로 하여 구치 압하를 시행하여 치료한 개방교합 환자의 안 정성은 의문시되어 왔다. 저자들은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 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또는 골 고정성 유지장치 (Skeletal Fixed Retainer, SFR)를 구치부 압하를 시행 하여 개방교합을 치료한 환자에서 유지장치로 사용 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 . 증례 1 진단 28세 남성으로 전치부 개방교합을 주소로 내원하 였다. 전안면 고경이 큰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정면 미소사진에서 전치부의 개방교합이 보인다. 수직피개량은 1.5 mm이고, 상하 제2대구치만 서 로 교합되고 있었다 (Fig 1).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에서는 FMA35.0 o , ANB4.0 o , 전안면 고경 154.5 mmdolichocephalic pattern을 가진 골격 II급 관계를 보이고 있다 (Fig 2, Table 1).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CASE REPORT

402

a교수, 가천의과학 학교 길치과병원 교정과.b공 보건의.c개인치과의원.d조교수, 앙 학교 의과 학 치과학교실.

교신 자: 문철현.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1204, 가천의과학 학교 길치과병원 교정과.

032-460-3881; e-mail, [email protected].

원고 수일: 2008년 12월 1일 / 원고최종수정일: 2009년 9월 14일 /

원고채택일: 2009년 9월 16일.

DOI:10.4041/kjod.2009.39.6.402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문철aㆍ이주신

bㆍ이 선

cㆍ최진휴

d

성장이 종료된 치성 는 골격성 개방교합 환자를 치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치부 개방교합 환자는 증

가된 안면고경, 상악 구치부의 과도한 수직성장, 큰 하악각 등의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증례에서 구치의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해소는 좋은 치료 략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 란트를 이용하여 개방교합을 치료하고 성공

인 유지를 얻은 두 명의 환자에 한 보고이다. 한 진단이 시행되고 교정용 미니임 란트 등의 장치를 이용한

치료기법을 용하면 수술치료 없이 교정치료만으로 개방교합의 치료가 가능하며,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SFR이 개교환자를 한 유지장치 는 보조유지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치교정지 2009;39(6):402-419)

주요 단어: 개방교합, 교정용 미니임 란트, 구치부 바이트 블럭, 골 고정성 유지장치

서론

성인 개방교합 환자의 치료는 교정의사에게 종종

어려운 도 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에서 개

방 교합의 정도가 심한 경우 비수술 방법만으로

성공 인 치료를 달성하기에 한계가 있는 경우도

많다.1,2 개방교합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구치부의 정

출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증례

에서는 치료 방향 한 후방 치아치조의 수직 조

에 주안 을 두어야 한다.3-7

교정용 미니임 란트(Orthodontic Mini-Implant, OMI)

는 식립과 제거가 쉬우면서도 치조골의 측,8 구개

측,9-11 하악 구후 융기,12 무치악 부 나 치근 사이의

부착 치은 부 등 다양한 부 에 식립이 가능하여

최근 임상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OMI는

한 수직 인 문제를 가진 개방교합 환자에서 주

치아나 반 악궁에 향을 미치지 않고 치아의 압

하를 쉽게 도모할 수 있는 충분한 고정원을 제공하

는 장 이 있다.13

그러나 OMI를 고정원으로 하여

구치 압하를 시행하여 치료한 개방교합 환자의 안

정성은 의문시되어 왔다.

자들은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

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는 골 고정성 유지장치

(Skeletal Fixed Retainer, SFR)를 구치부 압하를 시행

하여 개방교합을 치료한 환자에서 유지장치로 사용

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

다.

증례 1

진단

28세 남성으로 치부 개방교합을 주소로 내원하

다. 안면 고경이 큰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정면 미소사진에서 치부의 개방교합이 보인다.

수직피개량은 −1.5 mm이고, 상하 제2 구치만 서

로 교합되고 있었다 (Fig 1).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에서는 FMA가 35.0o, ANB는 4.0o, 안면 고경

이 154.5 mm로 dolichocephalic pattern을 가진 골격

성 II 계를 보이고 있다 (Fig 2, Table 1).

Page 2: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03

Fig 2. Pretreatment lateral cephalometric and panoramic radiograph.

Fig 1. Pretreatment facial and intraoral photographs.

Page 3: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04

Mean Initial Final Retention

Sum (o) 390.2 401.1 399.7 400.0

SNA (o) 82.4 80.5 80.2 80.8

SNB (o) 80.4 76.6 77.2 77.5

ANB (o) 2.0 3.9 3.0 3.3

Wits (mm) −2.2 −4.2 −11.8 −8.6Facial convexity (o) 2.3 6.7 5.2 6.0

Post. facial height (mm) 95.4 100.2 100.2 100.2

Ant. facial height (mm) 136.4 154.5 152.6 153.7

P/A facial Ht. ratio (%) 70.2 64.9 65.7 65.2

ODI (o) 73.3 65.2 66.0 65.2

APDI (o) 85.9 76.4 78.9 78.3

FMA (o) 22.7 35.0 33.7 34.2

U1 to SN (o) 109.0 95.2 93.2 93.3

U1 to NA (o) 26.2 14.7 13.0 12.6

L1 to NB (o) 27.3 25.1 20.2 18.2

Interincisal angle (o) 124 136.2 143.8 146.0

Occlusal plane to SN (o) 17.9 20.3 22.0 22.5

Upper Lip E-plane (mm) 1.0 1.4 1.2 0.6

Lower Lip E-plane (mm) 1.0 5.3 6.6 5.0

Table 1. Cephalometric measurements

Fig 3. Intraoral photographs (6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Only intrusion of molars has allowed a positive overbite.

치료 목표 및 계획

개교량이 1.5 mm 정도로 경미하 고 총생 정도

와 하안면의 연조직 계가 양호하 으므로 교정치

료를 결정하 다. 치성 III , 골격성 II 양상의 장

안모 소견을 보이는 개방교합으로 진단하고, 스마

Page 4: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05

Fig 4. Posttreatment facial and intraoral photographs (15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일 시 상악 치노출도가 하므로 상악 치의

노출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개방 교합을 개선하기

하여 OMI를 이용하여 구치부를 압하하기로 하

다.

치료 경과 및 결과

상악과 하악 치열에 라켓을 부착한 후, 0.016''

× 0.016'' 와이어상에서 상, 하악 측 구치부에 식

립한 OMI (1.6 mm diameter, 8.0 mm length, Dual-

Top anchore system screw, Jeil, Seoul, Korea)를 이용

하여 압하력을 가하 다 (Fig 3). 이때 구치의 측

경사를 방지하기 하여 와이어 구치부에 치 설측

토크를 부여하 다. 치료 시작 6개월 후에 구치부

압하의 결과로 치부에서 수직피개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치료 시작 9개월 후에는 1.7

mm의 수직피개를 보 다. 하악에 MEAW를 삽입하

여 치부 수직피개의 과교정 교합 안정을 얻은

후 치료를 종료하 다. 치료 종료 시 모습에서

한 수직, 수평 피개를 보이고 있으며, 하악이 반시

계방향 회 으로 인하여 안면 고경의 경미한 감

소를 보 다 (Figs 4 and 5).

유지 경과 및 결과

치료 후 재발을 막기 하여 하악 6 치에 고정

식 유지장치를 부착하고, 상, 하악에 가철식 유지장

치를 장착하 다. 상악에는 통상 으로 사용되는

Begg 형태의 유지장치를 사용하 으나, 하악 구치

부에는 bite block을 형성하여 잠잘 때만 착용하도록

Page 5: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06

Fig 5.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metric and panoramic radiograph.

Fig 6. Retainer photographs (Mx. arch; circumferential retainer, Mn. arch; circumferential retainer with posterior bite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 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

으며, 치료 종료 후 12개월간 장착하 다. 유지 20

개월 후 찰에서 양호한 유지를 보이고 있다 (Figs

6∼9).

증례 2

진단

21세 여성으로 치부 개방 교합을 주소로 내원

하 다. 정면 사진에서 mentalis muscle의 긴장이 보

이며, 정면 미소 사진에서 상, 하악 치부의 총생

과 개방 교합이 보인다. 측면 사진에서 상, 하순의

돌출과 상 으로 후하방 치된 턱을 보인다. 좌,

Page 6: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07

Fig 7. 20 months-retention intraoral photographs (8 months after circumferential retainer with posterior bite block re-moval).

Fig 8. 20 months-retention lateral cephalometric and panoramic radiograph.

우측 구치부는 모두 II 구치 계를 보이며 치

부의 수직 피개량은 −5.8 mm이고, 상악 소구치부

는 착되어 하악치열과 반 교합을 보이고 있었다.

상ㆍ하 제2 구치만 서로 교합되고 이외 다른 치아

들은 모두 이개된 상태 다 (Fig 10).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사진에서는 상악 구치부의 과도한 정출을 보

이고 있었다. FMA는 43.1o로 하악 평면이 과도하게

clockwise rotation되었으며 안면고경은 141.0 mm

로 다소 길었다 (Fig 11).

치료 목표 및 계획

치부 개교량이 과도하여(5.8 mm) 수술치료를

권유하 으나 환자와 보호자가 수술치료를 거부하

여 구치압하를 통한 개교의 교정치료를 시도하고

후 불량 시 수술치료를 하기로 하 다. 상, 하악

치부의 총생 상, 하순의 돌출감을 개선하기

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고, 상악 구치부를

압하시키기 하여 구개 정 부에 OMI를 식립하기

로 하 다. 상악 제2 구치에는 TPA를 장착하기로

Page 7: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08

Fig 9. Superimposition of cephalometric tracings.

하 다. 한 착된 상악궁을 확장시키기 해

속 상악 확 장치(rapid maxillary expansion, RME)를

사용하여 구개 확장을 도모하는 동시에 압하를 유

도하기 하여 측에 OMI를 식립하여 상악 제2소

구치와 제1 구치를 함께 압하하기로 하 다. 이런

구치부의 압하 효과는 하악골의 counter-clockwise

rotation을 유도하여 턱의 돌출도를 향상시킬 수 있

을 것으로 기 하 다.

치료 경과 및 결과

상, 하악 제1소구치 발치를 하고 상악 제 2 구

치에 압하를 한 TPA를 장착하 다 (Fig 12). 상악

제2소구치와 제1 구치에 존재하는 착을 해소하

기 해 RME를 장착하여 상악골의 확 를 시작하

다. 압하와 공간 유지를 한 고정원의 보강을

해 OMI (1.6 mm diameter, 8.0 mm length, Dual-Top

anchore system screw, Jeil, Seoul, Korea)를 구개 정

부에 두 개 식립하고 상악 제2 구치 압하를

한 TPA와 elastomeric chain으로 연결하 다. 상악

좌, 우측 측 구치부에도 OMI (1.6 mm diameter,

8.0 mm length, Dual-Top anchore system screw, Jeil,

Seoul, Korea)를 식립하여 구개 확장 인 RME와 en-

ergy chain으로 연결하 다 (Fig 13). 치료 8개월 후

상악의 확 가 완료되어 RME를 제거하고 제2소구

치와 제1 구치부에 TPA를 장착하여 유지하 다

(Fig 14). 하악 좌, 우측 제1 구치와 제2 구치

측에 OMI (1.6 mm diameter, 8.0 mm length, Dual-

Top anchore system screw, Jeil, Seoul, Korea)를 식립

하고 하악 구치부에도 함입력을 가하 다. 이때 하

악구치부가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하

여 하악 와이어 상에서 하악 구치부에 치 설측토

크를 추가하 다. 상, 하악 구치부에 지속 인 압하

력을 가하면서 치부의 총생을 해결하는 에

차 수직피개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구치 함입 14개

월 후에는 1.8 mm의 수직피개가 형성되었다. 하악

궁에 MEAW를 삽입하고 치부에 수직고무를 장

착하여 치부 수직피개의 과교정 교합 안정을

얻은 후 치료를 종료하 다. 치료 종료 시 모습에서

한 수직, 수평 피개를 보이고 있으며 하악의

counter-clockwise rotation으로 인하여 턱의 치가

개선되고 안면 고경이 감소하 다 (Figs 15 and

16).

유지 경과 및 결과

치료 후 재발을 막기 하여 하악 치부에 고정

식 유지장치를 부착하고 상, 하악에 식립되어 있는

Page 8: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09

Fig 11. Pretreatment lateral cephalometric and panoramic radiograph.

Fig 10. Pretreatment facial and intraoral photographs.

Page 9: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10

Fig 12. Transpalatal arch for intrusion of maxillary 2nd molar (TPA is kept apart from the palatal surface for intrusionof the maxillary 2nd molar).

Fig 13. Intraoral photographs (5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OMI와 상, 하악 각각의 제1, 2 구치를 0.016'' ×

0.022''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 린

트하여 압하된 구치부를 유지하도록 하여 치료 종

료 후 12개월간 장착하 다. 이 스 린트는 최 한

치은측 1/3부 에 장착하여 추가 으로 상, 하악에

통상 인 circumferential retainer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 다 (Fig 17). 유지 27개월 후 찰에서 좌측 측

치, 견치 소구치부 교합이 다소 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Figs 18∼21). 하악 치부의 고정식 유

지장치를 제거한 후 교합의 개선을 한 추가의 교

정치료를 권유하 으나 환자가 유지장치의 제거를

원치 않아 당분간 상태의 변화를 지속 으로 찰

하기로 하 다.

Page 10: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11

Fig 14. Intraoral photographs (8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고찰

치부 개방교합의 발생은 작 기능 이상, 기

능 이상, 발음 장애, 연하작용 이상, 비호흡계의

착, 구호흡, 두개 하악의 비정상 치 습

등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어,5,6,14,15 같은 증상에

해서도 그 원인은 다를 수 있다.16 한 장안모와

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경우, 악안면 골격과 근육

의 힘이 정상군과 비교 시에 좀 더 약하다고 보고되

어 왔다.17

개방교합 환자는 hyperdivergent한 얼굴과6 back-

ward rotation을 갖는 하악 성장 형태를 나타내며4

과발육된 하안면 고경을 갖게 되는데 안면고경

에 한 후안면고경의 비율 역시 정상인에 비하여

매우 작게 나타난다.3,5 개방교합을 나타내는 하악은

gonial angle의 과도한 증가를 나타내고 chin의 후하

방 회 을 보이는데 이는 하악의 회4 는 하악이

후방 치되어16 나타난다. 한 구치부의 맹출 방

향은 정상인과 비교할 때 오히려 수직 상방으로만

맹출하고, 치부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설측으로경

사지면서 맹출하기 때문에 이차 인 치아 집이

자주 나타난다.18

성인 개방 교합 환자에서 MEAW19를 이용한 교

정 치료는 치열을 원심 경사 이동시켜 구치의 직

립이 수반되는 상, 하 교합평면 심으로 이루어진

다. 그러나 교정 치료 사용되는 악간 고무로 인

해, 구치부의 함입뿐만 아니라 치부의 정출이 야

기되어, 장안모를 보이거나 상악 과잉양상을 보이

는 부분의 개방교합 환자에서 심미 으로 불리하

게 작용한다.17

최근에 교정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OMI는 구

치부의 순수 압하를 효과 으로 수행하기 한

한 고정원을 제공할 수 있다. 성인 골격성 개방교

합환자의 경우 교정 치료의 주안 은 구치부의 압

하에 있는데, 이를 이용한 개방교합의 교정 치료 증

례가 보고되고 있다.20 치아 이동 에 비교 어려

운 이동 의 하나가 압하 이동이며, 그 에서도

구치부의 압하 이동은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OMI

가 고정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이 에는 임상

으로 어려웠던 구치부의 압하 이동을 좀 더 쉽게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Umemori 등21은 plate type의

골고정장치 이용하여 개방교합의 치료를 보고하

다. Plate type의 골고정장치는 우수한 고정원으로

작용하나 식립과 제거 시 수술이 동반되므로 교정

의가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22 그러나 OMI는

식립과 제거가 용이하여 교정의에 의하여 쉽게 삽

입과 제거가 가능한 장 을 지닌다. 한 장치도 간

단하여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환자의

Page 11: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12

Fig 15. Posttreatment facial and intraoral photographs (28 months after start of treatment).

Fig 16.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metric and panoramic radiograph.

Page 12: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13

Fig 17. Skeletal fixed retainer (SFR).

Fig 18. 13 months-retention intraoral photographs (1 month after SFR removal).

조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구치를 압하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 인 사용이 가능하다.23

본 증례들의 치료 종료 시 방사선사진을 진 시

의 사진과 비교했을 때, 증례 1 환자에서는 2.5 mm,

증례 2 환자에서는 3.5 mm의 구치부 함입을 찰할

수 있었다. 이런 실질 인 상악 구치부의 함입을 통

해 치부의 극 인 정출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

에서도 수직피개가 형성되었으며, 동시에 하악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 되어, 안면고경의 감소와

하악 평면각의 감소가 나타났다. 증례 2 환자는

치부 개방 교합이 동반된 II 부정교합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상악 구치부의 과잉 정출이 동반되어 man-

dible plane이 시계방향으로 회 되어 chin부 가 후

하방으로 치한 소견을 보 다. 그러나 치료가 진

행되며 하악각이 닫히면서 chin의 부족했던 돌출감

이 해소되기 시작하 고 치료를 시작한 지 9개월이

지났을 무렵에는 환자 스스로가 외모의 변화를 인

식할 정도가 되었다. 구치부의 극 인 함입만으

로 치부에서 약 2.0 mm 정도의 수직피개를 얻은

후에 치료 후반부에 상, 하악 치부에 수직고무를

Page 13: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14

Fig 19. 27 months-retention intraoral photographs (15 months after SFR removal).

Fig 20. Superimposition of cephalometric tracings.

Page 14: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15

Fig 21. Superimposition of cephalometric tracings.

사용하여 과교정하 다.

치부 개방 교합의 안정성에 하여 치료 과정

발치의 유무를 놓고 장기간의 안정성의 차이에

해 조사한 보고가 있다.24,25 치부 개방 교합을

발치를 동반해서 치료한 경우 임상 으로 유효한

안정성은 74.2%25로서 비발치로 치료한 61.9%26에

비해 10% 이상 높았다. 증례 1 환자는 비발치로, 증

례 2 환자는 발치를 시행한 후 교정치료를 진행하

으며, 두 증례의 장기간 안정성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재발을 보인 개교량이 환자마다 매

우 다양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런 수치가 개교합

치료를 한 발치 행 를 정당화시킬 수는 없다.24,25

Sugawara 등25은 skeletal anchorage system을 사용

하여 하악 구치를 함입한 경우 재발률은 30% 정도

라고 하 으나 Lee와 Park27은 상악 구치를 함입한

경우 재발률은 10.36% 정도라고 하여 상악에서 re-

lapse가 덜 일어난다고 하 다. 한 Sugawara 등25

은 치아의 함입은 후방 이동이나 회 의 경우보

다는 안정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는 다른 치아 이동은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

운 골형성을 동반하나 함입 시는 그 지 못하며, 보

다 큰 교합력에 항하는 치주 섬유는 유사한 방향

의 함입력에 항력을 가지고, 다른 부 에 비해 치

근 부 의 치주 조직은 재조직화의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며, 구치 함입 후의 효율 인 보정 방법이 아

직 확립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하 다.

개방교합의 재발은 치부의 재함입에 의해 발생

하기보다는 구치부의 재정출에 의해 나타난다.26

한 악안면의 수직 성장과 구치부의 맹출이 10

후반에서 20 반까지 계속될 수도 있음을26 고려

할 때, 치료 후 개방교합의 안정성을 극 화하기

해서는 함입시킨 구치부의 유지를 해 별도의

리가 필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들은 비록 20 후반

의 성인이지만 함입된 상, 하악 구치부의 재발을 막

기 해 증례 1 환자는 하악 6 치 설측에, 증례 2

환자는 하악 좌측 제2소구치에서 우측 제2소구치

설측에 고정식 유지장치를 부착한 후, 증례 1 환자

는 가철식 장치를, 증례 2 환자는 고정식 장치를 개

방교합의 재발을 방지하기 한 목 으로 추가로

사용하 다.

증례 1 환자는 상, 하악에 가철식 유지장치를 장

착하되 하악 구치부에는 bite block을 형성하여 상악

제1, 2 구치들이 rest position에서 bite plate와 닿을

수 있도록 조 하여, 연조직의 수직 신장이 함입

된 구치부의 재맹출을 억제할 수 있게 한 하악구치

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Page 15: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16

Initial Final Retention

6/ANS-PNS (o)* 72.0 70.0 71.0

6/SN (o)† 66.5 65.0 66.0

6-CEJ/ANS-PNS (mm)‡ 23.0 20.5 20.9

*6/ANS-PNS, Angl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xillary molar and the palatal plane; †6/SN, angl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xillary molar and the

anterior cranial base; ‡6-CEJ/ANS-PNS: distance bet-

ween the center of cementoenamel junction on sagittal

plane of the first permanent maxillary molar and the

palatal plane.

Table 2. Maxillary 1st molar change in sagittal plane

Mean Initial Final13 months-

retention

27 months-

retention (15

months after SFR

removal)

Sum (o) 393.3 416.2 414.4 413.5 413.5

SNA (o) 81.6 78.6 79.1 78.8 78.9

SNB (o) 79.1 71.8 72.9 72.1 72.0

ANB (o) 2.4 6.8 6.3 6.8 6.9

Wits (mm) −2.7 −3.5 −3.5 −3.6 −3.5Facial convexity (o) 3.6 15.2 15.3 15.9 15.8

Post. facial height (mm) 85.0 74.1 73.5 74.8 74.3

Ant. facial height (mm) 99.1 141.0 139.0 139.4 139.0

P/A facial Ht. ratio (%) 66.8 52.5 52.8 53.7 53.5

ODI (o) 72.1 58.8 61.0 62.4 63.3

APDI (o) 85.7 75.9 75.9 74.6 74.8

FMA (o) 24.2 43.1 42.3 41.1 41.4

U1 to SN (o) 107.0 107.6 91.4 89.8 89.9

U1 to NA (o) 25.2 28.9 12.3 11.0 11.1

L1 to NB (o) 28.4 38.4 30.4 30.4 30.5

Interincisal angle (o) 124.0 105.8 131.1 131.8 131.7

Occlusal plane to SN (o) 17.9 20.5 31.8 29.5 30.9

Upper lip E-plane (mm) -1.0 4.7 3.3 3.5 3.4

Lower lip E-plane (mm) 2.0 6.8 6.0 3.5 3.9

Table 3. Cephalometric measurements

를 장착하 다. Bite block의 높이는 약 2 - 3 mm 정

도로 형성하 으며 이는 함입량을 고려하여 결정하

다. Posterior bite block은 치료 종료 후 12개월간

잠잘 때만 착용하 고, 내원 시마다 차 으로 삭

제하여 그 높이를 낮추었다. 20개월 유지(posterior

bite block 제거 8개월) 사진에서 안정 인 모습을

보이나 (Fig 7), 치료 종료 시와 20개월 유지 시의

비교에서 보면 FMA값이 33.7o에서 34.2

o로 증가하

으며 상악 제1 구치와 구개평면 사이의 거리가

0.4 mm 증가하 다 (Tables 1 and 2). 변화량이 미미

하여 계측 시의 오차일 수도 있으나 함입되었던 구

치부가 다소 정출된 것일 수도 있으므로 향후 지속

인 찰을 하기로 하 다.

증례 2 환자는 상악과 하악의 구치부에 식립되어

있던 OMI를 상, 하악 각각의 제1, 2 구치와 스

린트하여 압하이동한 구치를 한 유지장치로 사용

하 으며 자들은 이 유지장치를 Skeletal Fixed

Retainer (SFR)라 명명하 다. 한 통상 으로 사용

하는 고정식 유지장치를 하악 치부에, 가철식 유

지장치를 상악과 하악에 장착하 으며 SFR은 치료

종료 후 약 1년간 유지한 후 제거하 다. 13개월 유

지(SFR 제거 1개월 후)와 27개월 유지(SFR 제거 15

개월 후)의 방사선사진 비교에서 occlusal plane to

SN 각도가 29.5o에서 30.9o로 1.4o 증가하 으나

(Table 3) 치료 종료 시에 비하여는 오히려 0.9o 감소

하 으며 (Table 3) 상악 제1 구치와 구개평면사이

의 거리 각도가 거의 변하지 않는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Table 4) 이러한 변화를 계측상의 오

Page 16: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Vol. 39, No. 6, 2009. Korean J Orthod 성인 환자에서 구치부 압하를 통한 개방교합의 치료와 유지

417

Initial Final

13

months-

retention

27 months-

retention

6/ANS-PNS (o)* 81.5 80.0 80.5 80.7

6/SN (o)† 70.0 67.5 68.0 68.1

6-CEJ/ ANS-PNS (mm)‡ 21.0 17.5 17.5 17.6

*6/ANS-PNS, Angl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xillary molar and the palatal plane; †6/SN, angl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xillary molar and the

anterior cranial base; ‡6-CEJ/ANS-PNS: distance bet-

ween the center of cementoenamel junction on sagittal

plane of the first permanent maxillary molar and the

palatal plane.

Table 4. Maxillary 1st molar change in sagittal plane

차로 단하 다. 그러나 치료 종료 시와 13개월 유

지, 27개월 유지의 구내사진 비교에서는 (Figs 15,

18, 19) 좌측 측 치, 견치 소구치부 교합이 다소

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치부에 반 인 개교

가 나타난 것이 아니며 우측부의 교합은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양상의 치아이동이 함입

된 구치부의 재정출로 인한 반 인 개교의 재발

이 아니라 해당부 의 부분 인 치아이동에 의한

변화로 추정하 다. 그 지만 이러한 변화가 SFR의

제거 후 서서히 나타난 것으로 보아 방사선사진에

서 발견되지 않는 구치의 미세한 이동의 결과일 수

도 있으므로 SFR의 장착기간을 증가시키는 것도

다양한 양태의 재발 가능성을 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SFR은 장착을 한 환자의 노

력이 필요 없으며 장치의 장착 철거가 쉽고 기존

의 유지장치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 이 있

으나 구치부에 존재하므로 구강 생을 한 리가

어려우며 장치의 탈락을 환자가 알 수 없다는 단

이 있다.

증례 1과 증례 2를 통하여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가한 가철식 유지장치 SFR이 개

교환자를 한 유지장치, 는 보조유지장치로 유

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단을 하 다. 그러나 개

교의 양상 심한 정도에 따른 유지장치의 선택,

유지기간의 설정, 장치 제거 후 장기간의 안정성 등

을 평가하기 하여는 보다 많은 증례를 상으로

한 장기간의 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성인 개방교합 환자에서 수술을 동반하지 않고

orthodontic mini-implant를 이용한 교정 치료로 양호

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악구치부에 posterior bite block을 추가한 가철

식 유지장치 는 skeletal fixed retainer (SFR)는 개

교증례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유지장치 는 보

조유지장치라는 결론을 얻었다.

참고문헌

1. Epker BN, Fish L. Surgical-orthodontic collection of open-bite

deformity. Am J Orthod 1977;71:278-99.

2. Proffit WR, Phillips C, Dann C 4th. Who seeks surgi-

cal-orthodontic treatment?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0;5:153-60.

3. Proffit WR, Fields HW Jr. Contemporary Orthodontics. 2nd

ed. St Louis: Mosby-Year Book Inc; 1993. p. 464-506.

4. Isaacson JR, Isaacson RJ, Speidel TM, Worms FW. Extreme

variation in vertical facial growth and associated variation in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 Angle Orthod 1971;41:219-29.

5. Sassouni V. A classification of skeletal facial types. Am J

Orthod 1969;55:109-23.

6. Schudy FF. The rotation of the mandible resulting from

growth: its implications in orthodontic treatment. Angle Orthod

1965;35:36-50.

7. Chae JM, Chang NY, Cho JH, Kang KH, Kim S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 adult patient with vertical and transverse

problems caused by nasal airway obstruction using microim-

plant anchorage. Korean J Orthod 2009;39:257-72.

8. Freudenthaler JW, Haas R, Bantleon HP. Bicortical titanium

screws for critical orthodontic anchorage in the mandible: a

preliminary report on clinical applications. Clin Oral Implants

Res 2001:12:358-63.

9. Bernhart T, Vollgruber A, Gahleitner A, Dörtbudak O, Haas

R. Alternative to median region of the palate for placement of

an orthodontic implant. Clin Oral Implants Res 2000;11:595-

601.

10. Tosun T, Keles A, Erverdi N. Method for the placement of

pala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

95-100.

11. Kim SJ, Lim SH. Anatomic study of the incisive canal in rela-

tion to midpalatal placement of mini-implant. Korean J Orthod

2009;39:146-58.

12. Higuchi KW, Slack JM. The use of titanium fixtures for in-

traoral anchorage to facilitate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338-44.

13. Kuroda S, Katayama A, Takano-Yamamoto T. Severe anterior

open-bite case treated using titanium screw anchorage. Angle

Orthod 2004;74:558-67.

14. Lee YS, Kim JC.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airway siz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alocclusion. Korean J Orthod

Page 17: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문철현, 이주신, 이현선, 최진휴 대치교정지 39권 6호, 2009년

418

1995;25:19-29.

15. Kim JH, Lee KS. Relations between posture and size of the

tongue and dentoalveolar pattern. Korean J Orthod 1987;17:

33-45.

16. Subtenly JD, Sakuda M. Open bite: diagnosis and treatment.

Am J Orthod 1964:50:337-58.

17. Proffit WR, Fields HW, Nixon WL. Occlusal forces in normal-

and long-face adults. J Dent Res 1983;62:566-70.

18. Chun YS, Row J. Cephalometric analysis in Children and

Adolescent. Seoul: JeeSeung Publishing Co; 1999. p. 163-6.

19. Kim YH. Anterior open bite and its treatment with multiloop

edgewise archwire. Angle Orthod 1987;57:290-321.

20. Proffit WR, Fields HW Jr, Sarver DM. Contemporary Ortho-

dontics. 4th ed. St Louis: Mosby; 2007. p. 695-9.

21. Umemori M, Sugawara J, Mitani H, Nagasaka H, Kawamura

H. Skeletal anchorage system for open-bite correc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5:166-74.

22. Moon CH. Clinical use and failure of skeletal anchorage

system. J Korean Dental Assoc 2002;40:68-74.

23. Janson G, Valarelli FP, Henriques JF, de Freitas MR, Cançado

RH. Stability of anterior open bite nonextraction treatment in

the permanent denti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 124:265-76.

24. de Freitas MR, Beltrão RT, Janson G, Henriques JF, Cançado

RH. Long-term stability of anterior open bite extraction treat-

ment in the permanent dentit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4;125:78-87.

25. Sugawara J, Baik UB, Umemori M, Takahashi I, Nagasaka H,

Kawamura H, et al. Treatment and posttreatment dentoalveolar

changes following intrusion of mandibular molars with applica-

tion of a skeletal anchorage system (SAS) for open bite cor-

rection.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2002;17:243-53.

26. Kuroda S, Sakai Y, Tamamura N, Deguchi T, Takano-

Yamamoto T. Treatment of severe anterior open bite with

skeletal anchorage in adults: comparison with orthognathic sur-

gery outcom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7;132:

599-605.

27. Lee HA, Park YC. Treatment and posttreatment changes fol-

lowing intrus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with miniscrew

implants for open bite correction. Korean J Orthod 2008;

38:31-40.

Page 18: CASE REPORT - KoreaMed · 2010-06-23 · block). 하여 함입된 구치부의 정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Bite block은 약 2 - 3 mm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였 으며,

CASE REPORT

419

Non-surgical treatment and retention of open bite in adult

patients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Cheol-Hyun Moon, DDS, MSD, PhD,a Joo-Sin Lee, DDS,

b Hyun-Sun Lee, DDS, MSD,

c

Jin-Hugh Choi, DDS, MSD, PhDd

Successful treatment of the non-growing patient with an open bite of either dental skeletal pattern often presents a difficult challenge. The morphologic pattern in anterior open bite is characterized by longer vertical dimensions, an increase in development of the maxillary posterior dento-alveolar structure and a steep mandibular plane. In such cases, molar intrusion would be a good remedy for treatment. This article reports the successful treatment and retention of two anterior open-bite cases. We used orthodontic mini-implants for treatment and a circum-ferential retainer with posterior bite block or skeletal fixed retainer for retention. The diagnostic criteria and me-chanics for appropriate treatment are discussed. Our results suggest that open bite can be reduced successfully with intrusion of molars using orthodontic mini-implants (OMI) without orthognathic surgery, and that circum-ferential retainer with posterior bite block and skeletal fixed retainer are effective for retention. (Korean J Orthod 2009;39(6):402-419)

Key words: Openbite, Orthodontic mini-implant, Posterior bite block, Skeletal fixed retainer

aProfessor, Department of Orthodontics, Gachon University Dental Hospital.

bPublic Health Doctor.

cPrivate Practice.

d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Dentistry,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Cheol-Hyun Mo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Gachon University Dental Hospital, 1204, Guwol-dong, Namdong-gu, Incheon 405-760,

Korea.

+82 32 460 3881;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December 1, 2008; Last Revision September 16, 2009; Accepted September 20, 2009.